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트워크
- 갱신 이상
- null
- 비관적 락
- 자바
- Redis
- 정규화
- HTTP
- ocp
- java
- MSA
- 스레드 풀
- 자료구조
- 낙관적 락
- 페이지네이션
- gatway
- well-know port
- AWS
- 삭제 이상
- DB
- Kafka
- Dirty Checking
- 캐시 오염
- Spring
- buildSrc
- Kotlin
- 3-way handshaking
- 데이터베이스
- JPA
- 삽입 이상
- Today
- Total
728x90
목록
728x90
네트워크 (8)
어 나 갱수.

IP(Internet Protocol)웹 서버가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연결하려면, 웹 서버가 실행 중인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이 주소를 IP주소로 합니다. 이러한 IP주소는 형식을 외우거나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DNS를 통해 구별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로 변환된다.도메인주소로 웹 브라우저에 접속할 때도 DNS를 통해 IP주소를 알아내고 통신을 이어갑니다. Port포트는 “논리적인 접속장소”를 뜻하며,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사용할 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때 IP 주소를 바탕으로 해당 서버가 있는 컴퓨터에 접근하게 된다. IP 주소가 건물 주소라면 포트 ..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컴퓨터끼리 서로 연결하여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연결해서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입니다. 키워드인터넷 : 컴퓨터와 컴퓨터가 서로 연결된 거대한 컴퓨터 망,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프라라우터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둘을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모뎀 : 전화 시설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디지털 정보와 아날로그 정보를 상호 변환해 주는 장치ISP :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인터넷을 제공해 주고 다른 회사의 ISP와도 연결시켜 주는 장치IP 주소 : 인터넷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로 된 주소 (예 : 220.93.142.215)도메인 네임 :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문자로 치환한 주소 (예 : tist..

웹 소켓(Web Socket) 프로토콜이란? 웹 소켓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연결시켜놓고 실시간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첨단 통신 프로토콜이다. 쉽게 말하면 웹 소켓은 Socket Connection을 유지한 채로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 혹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프로토콜이다. 오늘날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웹 소켓의 특징 웹 소켓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양방향 통신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HTTP통신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Request를 보내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Response를 보내는 단방향 통신이지만, 웹 소켓의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별도의 Request를 보내지 않아도 저절로 서버에서 Response를 보낼 수 있습니다. 또 실시간 ..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 과정에서는 항상 CORS 이슈를 마주하게 된다. 나도 처음에 웹 통신을 하면서 CORS 문제가 터졌을 때 CORS가 뭔지도 모르고 어떻게 해결할지 잘 몰랐다. 사실 지금도 잘 모른다...ㅋㅋㅋ 이번 기회에 CORS가 무엇인지 조금 깊이 있게 공부해보겠다..!! 출처란? URL 구조 출처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URL의 구조를 살펴보아야 한다. 포트 번호가 생략된 이유는 http, https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http는 80번, https는 443번 포트가 디폴트 값이다. 출처(Origin) 이때 출처는 Protocol, Host, 포트번호를 의미한다. 즉 서버의 위치를 찾아가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합쳐놓..

Web Server와 WAS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서버 개발에 있어서 기초적인 개념이다. 먼저, 정적 페이지와 동적 페이지를 알아보자 Static Pages 바뀌지 않는 페이지 웹 서버는 파일 경로를 받고,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Dynamic Pages 인자에 따라 바뀌는 페이지 인자의 내용에 따라 동적인 contents를 반환함 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임 (Servlet : was 위에서 돌아가는 자바 프로그램) Web Server와 WAS의 차이 Web Server 개념에 있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하드웨어 : Web Server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HTTP의 단점, 보안 HTTP는 웹을 지탱하는 심플한 기술이지만 단점이 있습니다. 브라우저와 웹서버가 통신함에 있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된다는 점이다. HTTP는 인터넷이라는 통로를 이용해 웹 서버와 브라우저가 서로 통신하게 해주므로, 해커가 중간에서 통신을 도청하게 된다면 충분히 통신하는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탈취하고 그 데이터를 변조시킬 수 있다.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S는 웹 브라우저와 웹 사이트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 버전입니다. 표준 HTTP 프로토콜과 SSL/TLS 암호화 프로토콜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브라우저와 웹사이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도청이나 변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할 수 있다.HTML, TEXTIMAGE, 파일, 음성, 영상JSON, XML거의 모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도 HTTP를 사용한다.HTTP의 특징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이다.무상태 프로토콜, 비연결성HTTP 메시지HTTP서버 구조Request, Response 구조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한다.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한다.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장점 : 서버 확장성 높음(Scale Out)단점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할 때마다 추가로 데이터를 같이 보내야 한다.비연결성(Connectio..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합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를 해석하면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라는 뜻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 계층 여기서 TCP는 3 계층인 전송계층에 속한다. TCP 특징 연결지향 - TCP (논리적) 연결형 서비스로 연결이 성공해야 통신이 가능하다.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연결의 설정(3-way handshaking)과 해제(4-way handshaking) 순서를 보장 데이터 전달 보증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전달됐는지 아닌지 알 수 있다. ..